Session Track
November 02 (Friday)
항공우주 정책 및 안전Ⅰ
Oral,
3발표장 103 회의장
- 김종범
FB3-2
항공우주핵심기술로드맵 추진방향
항공우주산업은 국민 안전과 삶의 질 향상에 영향력이 높은 첨단기술이 융·복합된 선진국형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항공우주산업은 통상 국가브랜드 기술 우위성에 있어 여타 산업(반도체, 스마트폰, 자동차 등) 보다 상위에 위치한다. 항공산업은 장주기 투자기술로 제품 개발주기가 길고, 자본 및 기술측면의 진입장벽이 높으나, 진입 성공 시에는 장기간의 안정적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투자회임기간이 타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장기적이며, 투자 위험도가 높아 세계적으로 정부지원이 보편화되어 있다. 항공우주 부품 국산화로 기술자립 및 수입대체 기반을 구축하고, 첨단 항공우주 기술을 확보하여 국내 운용 항공기의 국산부품 비율을 높이고, 향후 추진될 완제기 개발의 국산화 비중을 높이는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완제기 산업과 부품산업간의 균형발전을 모색하고, 완제기 개발기 해외 기술에 크게 의존하는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끊고자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을 지난 2000년부터 지원하였다.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을 통해 핵심기술을 확보한 중소기업의 경우, 하청 생산을 통한 간접 수출 형태에서 직접 수출 사례가 확산되었다.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은 다음의 후속사업을 준비중에 있으며, 먼저 연구개발실행전략과 기술개발로드맵을 작성중에 있다. 항공산업의 차세대 연구개발 투자분야 선정과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의 후속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자 금년 초부터 항공전문 연구기관과 대표 대·중견·중소기업들과 협력하여 항공우주핵심기술로드맵 작성하였다.
Keywords :
Aerospace industry(항공우주산업), National R&D project(국가연구개발사업), Roadmap(로드맵), Aircraft Parts(항공기부품), Technology Readiness Level(기술준비도), System integration(체계종합)
Paper : FB3-2.pdf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대전광역시 중구 계백로 1719(오류동, 센트리오피스텔 제 12층 1206호)
Tel: 042-523-1978, E-mail: sase.or.kr